글을 쓰기 이전 저는 합격하진 못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ICT 인턴십 지원 과정에서 서류 합격 후 면접에서 불합격한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배운 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ict 인턴십이란?
국내·외 기업에서 제안한 ICT분야 직무 중심의 프로젝트, 서비스 개발 등에 대학생이 참여하여 인턴십을 수행하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받도록 하는 이론과 실무 역량을 겸비한 문제해결형 창의인재양성 프로그램입니다.
주요 내용
(국내) 상/하반기 각 120명 내외 | (글로벌) 상/하반기 각 10명 내외 |
4개월 (상반기 3월~6월, 하반기 9월~12월) | 6개월 (상반기 3월~8월, 하반기 7월~12월) |
연수업체 · 인턴십 운영 지원금(정부지원) : 월 120만원 × 실습생 수 - 전담인력 확보, 실습생 수당 지원, 실습생 산재보험 가입, 인턴십 운영을 위한 시설 구축비 등 인턴제도 인력 양성에 필요한 비용 지원 학생 · 실습생 수당(기업부담) : 최저임금액(’25년 기준 2,096,270원)/월 이상 |
학생 · 체제 준비금(정부지원) : 왕복항공료*, 비자발급 수수료, 의료보험 등 * 편도당 최대 100만원 한도내 지원 · 실습생 수당(기업부담) : 월 $2,000 이상 · 실습생 지원금(정부지원) : 최대 월 150만원(기업부담 금액별 상이) |
· 연수기업 : 국내‧외 ICT분야 중소 · 중견 · 벤처기업 · 공공기관 등 · 참여대학 :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원격대학, 기술대학 · 학생 : 참여대학의 정보통신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전공자, 복수전공자 또는 부전공자 (국내) 대학 전체과정 중 50% 이상 이수자 (신청일 기준) (글로벌) 대학 전체과정 중 75% 이상 이수자 (신청일 기준) |
|
업무환경 先구축 및 ICT 직무 기반 인턴 프로젝트 운영 ①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구현 ② 하드웨어의 설계‧개발 및 구축 ③ 정보통신 서비스 ④ 그 밖의 정보통신융합 등 분야에 관련된 직무 |
지원동기
일단 저는 대학교 막학기를 맞아 현직자들은 어떻게 일을 하는지에 대해 궁금하고, 알바보다는 관련 직무 수행을 하면서 돈과 학점을 얻을수 있다는 것에 큰 메리트를 느껴 지원하게되었습니다.
서류 합격 팁
저는 학점이 높은 편은 아니었지만, 전공과 관련된 프로젝트 경험이 두 가지 있었고, 그중 하나는 교내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를 자기소개서에서 강조했으며, 이를 통해 전공 역량을 어필했습니다.
또한, 코딩 과외 경험이 있어 이를 활용하여 "기술적인 부분을 남에게 설명하고 가르칠 수 있다"는 강점을 부각했습니다.
포트폴리오는 노션(Notion) 포트폴리오 링크를 활용하여 깔끔하게 정리한 후, 이력서에 첨부하였습니다.
📌 면접 질문 정리
A사 (인성 면접, 다대다 면접)
- 자기소개 및 지원 동기
- BA 직무에서 회사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
- 기업에 대한 이해도
-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 도출 시 중점적으로 보는 요소
- BA 직무를 선택한 이유
- 10년 뒤 어떤 일을 하고 있을지
➡️ 면접 후기: 기업과 직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중요했으며, BA 직무에 대한 비전과 논리적인 답변이 필요했음.
P사 (기술 면접, 다대일 비대면 면접)
- 자기소개
- 포트폴리오 관련 설명
- 포트폴리오에서 맡았던 직무
- 보고서 작성 시 데이터를 통해 도출한 인사이트
- LLM을 사용한 프로젝트 경험 여부
- 기업 관련 궁금한 점
➡️ 면접 후기: 관련 기술 프로젝트 경험이 중요한 요소였으며, 포트폴리오 기반의 깊이 있는 설명이 요구됨.
📌 면접에서 아쉬웠던 점
면접을 보면서 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서류 합격에만 기뻐하면서 정작 면접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실수였던 것 같습니다.
특히,
- 기업에 대한 사전 조사가 부족했고
- 내가 해당 직무에서 어떤 강점을 발휘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어필하지 못했습니다.
앞으로는 기업 분석 및 직무 분석을 철저히 한 후, 면접을 준비해야겠다는 점을 크게 느꼈습니다.
마무리
이번 인턴십 지원 과정은 단순한 합격/불합격을 떠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경험이었습니다.
비록 면접에서 최종 합격하지는 못했지만, 면접은 다다익선이라고 하나요? ict 이외에도 면접을 본것을 합하면 총 4번의 면접을 보면서 제가 조금씩 면접이라는 것에 적응해나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물론 모든 면접에서 탈락하고는 며칠간 폐인처럼 살게되었지만... 생각 정리를 많이하면서 다시 일어나 제가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합니다.
📌 개선점
✔️ 면접 대비 기업 분석 철저히 하기
✔️ 포트폴리오와 자소서 보완하기
💡 ICT 인턴십을 준비하는 분들께
인턴십은 단순한 스펙이 아니라 실무 경험을 쌓고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서류부터 면접까지 철저히 준비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해서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다음에는 좋은 소식으로 돌아오고 싶습니다! 다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