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t-test
·
통계
통계적 사고방식이란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얼마일까'라고 질문하는 것입니다. 또한, 통계란 분산(표준편차)의 마법이라 할수 있는데 왜 그런지 t-test에 대해 글을 쓰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우리는 통계를 공부하면서 t-test에 대해 종종 듣곤 하는데 외우기만을 급급해서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 t-test의 목적은 대체 무엇인지에 대해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t-test란? 두개의 집단이 같은지 다른지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계적방법입니다. 그런데 무엇을 가지고 두개의 집단을 비교를 할까요? 바로 두 표본의 대표값인 평균값을 가지고 같은지 다른지를 확인합니다. 그래서 두 집단 샘플(표본)의 평균값을 비교하고, 두 집단의 차이가 우연히 발생했을 확률을 구함으로써 t..
[통계] 상관관계와 상관계수
·
통계
통계적 사고방식이란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얼마일까'라고 질문하는 것 상관관계란 한 변수와 다른 변수가 공변(서로 변함)하는 관계입니다.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경우, 두변수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ex) X ↗ Y ↗ 음의 상관관계를 가질경우, 두변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ex) X ↗ Y ↘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값으로는 상관계수가 있는데, 이 상관계수 값은 -1 ~ +1까지만 존재하고 상관계수가 -1일때는 완벽한 음의 상관관계 상관계수가 0일때는 아무 관계가 없으며 상관계수가 +1일때는 완벽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 는 방향을 의미하는데, 이는 상관계수가 힘과 방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앞의 양의 상관관계와 음의 상관관계 또한 방향에 관한 것입..
[통계] 통계적 가설과 오류
·
통계
통계적 사고방식이란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얼마일까'라고 질문하는 것 통계적 가설과 오류 통계책을 보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오곤 합니다. H0 : μ - μ0 = 0 H1 : μ - μ0 ≠ 0 여기서 H0란 Null Hypothesis의 약자로, 귀무가설입니다. 귀무가설에서의 귀무란 歸(돌아갈 귀) + 無(없을 무)란 뜻으로 무로 돌아가는 가설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귀무가설은 '아무 영향도 없고, 아무 일도 없다라는 것을 가정하는 가설'로서, 이 가설이 맞다면 아무 일도 없다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반면, H1은 Alternative Hypothesis의 약자로 대립가설입니다. 대립가설은 귀무가설을 대체하는 대립하는 가설입니다. H0의 경우 거의 언제나 0이 되는 반면, H..
[통계] P-VALUE
·
통계
통계적 사고방식이란?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얼마일까 라고 질문하는것 우리는 통계를 배우면서 P-VALUE를 정말 많이 보게됩니다. 그러나 실상, 대부분의 이들은 P-VALUE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P-VALUE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유의 수준 p값, 'p값이 0.05보다 작으면 유의하다'라는 말은 어디서 나온말이며, p값은 뭐고, 0.05란 값은 왜 나왔으며, 작으면 유의하다라고 왜 말하는 걸까요? 먼저 p값에 대해 말하자면 p-value란 probability value로서, 확률값입니다. 그래서 p값은 어떤 것에 대한 확률값으로 이해하면됩니다. 그래서 맨 위에 적어놓은 통계적 사고방식의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을 p값이라고 이해하시면 됩..
richpotato
'통계' 태그의 글 목록